-
54. 배드민턴 경기규칙 (대한배드민턴 협회 경기규정보며 구술시험준비)기록/오늘 수업은 2020. 11. 7. 14:48
2주 뒤면 노인스포츠지도자 자격구술시험이 있다. 여기저기 자료를 찾아보다 대한배드민턴협회 경기규정 정리하며 공부하기 시작! 오늘부터 ㅋㅋ생체 카페를 기웃기웃해봤으나 등업을 바로 하기가 어려워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ㅠ ㅠ우선 경기장규격과 규칙을 공부해봐야겠다. 돌봄스포츠랑 비대면전국스포츠대회 축전때문에 애들 지도하느라 시간이 부족한데 공부는 언제하지? 퇴근하면 태권도학원도 가야하는데 시간이 없다. 밤만 되면 나에게 관대해지니 머리만 대면 숙면이다 ㅋㅋㅋ그냥 취소해야하나~~~~~~~~~~~ 내년에 볼까? 공부하기 시러 공부하기 시러 시러시러시러서러시런이ㅏㅓㄻ
그러다 배드민턴경기 나갔던 사진 들쳐봄 .
대회나가면 3등만 3번을 했다. (자랑자랑)요새는 손 놓은지 오래. 지금은 태권도에 주력하는중이니 내년엔 연습연습해서 시합나가면 꼭 이기고 돌아올테야~!!!
2013년부터 시작한 배드민턴 대회 참여 2020년 배드민턴 노인스포츠지도자 구술시험평가영역 1. 경기자
배드민턴경기는 남녀 단식과 복식 그리고 혼합복식으로 나누어지며 단식은 양편 각 1명씩, 복식은 양편 각 2명씩 조를 이루어 경기한다.2. 토 스
경기 전 양편이 토스를하여 이긴편이 첫 서브권, 또는 코트 선택권 중 하나를 선택하게되며 진편은 나머지를 택하게된다.3. 스코어
① 3게임(2게임 선취시 승리)을 원칙으로 하며 한 게임 21점(초등부는 17점)을 선취한 편이 승리한다.
② 해당 랠리에서 이긴편이 득점한다.(즉, 서브권을 갖지않은 편도 득점 가능함)
③ 20:20 동점(초등부-16:16)인 경우 2점을 연속하여 득점한 편이 승리하며 29:29(초등부-24:24)인 경우 30점(초등부-25점)에 먼저 도달한 편이 승리한다.4. 코트 변경
첫 번째 게임 종료후와 세 번째 게임 시작 전 그리고 세 번째 게임을 할 경우 11점 (초등부-9점) 선취시 코트를 변경한다.5. 서비스
올바른 서비스란?
- 서버와 리시버는 양편 서비스 코트 안에 대각선으로 서야한다.
- 셔틀이 라켓과 접촉하는 순간에 셔틀의 전체가 서버의 허리보다 밑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허리는 몸 전체에서 가상의 라인으로 생각하면 되고,대략 서버의 마지막 갈비뼈부분의 위치라고 생각하면 된다.
- 서버가 셔틀을 치는 그 순간에 라켓의 샤프트는 아래쪽 방향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 서버의 라켓 움직임은 서비스 시작부터 (경기규정 9.2) 서비스가 넘어갈 때까지 (경기규정9.3) 앞으로 향하는 움직임이 계속되어야 한다.- 서버가 라켓으로 셔틀을 치는 순간 셔틀전체가 코트바닥으로부터 1. 15미터보다 아래에 위치해야한다.
- 셔틀은 리시버의 코트 안에 떨어져야한다.+(2018 배드민턴 경기규정집에서 자세하게 추가하여 정리)
9. SERVICE(서비스)
<정확한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서버와 리시버가 서비스 준비가 되었을 때, 서버와 리시버는 서비스를시작하는데 부당한 지연을 해서는 안 된다.
-서버의 라켓 헤드가 후방 움직임을 마쳤을 때, 서비스를 시작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지연도 부당한 지연으로 간주된다.
- 서버와 리시버는 대각선 위치에 서 있어야 하며 코트의라인을 밟지 않아야 한다.
- 서버와 리시버의 양 발의 일부분은 서비스가 시작되어(규정 9.2)서비스가 행해질 때까지(규정 9.3) 코트의 표면에 고정된 자세로 있어야 한다.(설명:서비스가 행해질 때(until the service is delivered)란,서버의 라켓이 셔틀을 치는 순간을 의미함)-서버의 라켓은 셔틀의 베이스를 우선적으로 친다.
-서버가 라켓으로 셔틀을 치는 순간 셔틀 전체가 서버의 허리보다 밑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허리는 가상의 라인으로 대략 서버의마지막 갈비뼈 부분이다.
-휠체어배드민턴에서 서버의 라켓으로 셔틀이 치는 순간, 셔틀전체가 서버의 겨드랑이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고정높이 서비스 시험 규정 : 서버가 라켓으로 셔틀이 치는순간 셔틀전체가 코트 바닥으로부터 1.15미터보다 아래에 위치해야 한다.
-셔틀을 치는 순간에 서버 라켓의 샤프트와 헤드는 아래쪽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 고정높이 서비스제에서는 9.1.7항은 적용되지 않는다.
-서버의 라켓 움직임은 서비스 시작부터(규정 9.2) 서비스가 행해질때까지(규정 9.3) 앞으로 향하는 움직임이 계속되어야 한다.
-셔틀은 서버의 라켓에서 상향으로 비행하여 네트를 넘어가며. 만약걸리지 않는다면 리시버의 서비스코트(라인 또는 그 내측)으로 들어와야 한다.
- 서비스를 할 때, 서버는 셔틀을 맞히지 못하면 안 된다.(이 경우 폴트)
-선수들이 서비스 준비가 되어있을 때, 서버의 라켓 헤드가 최초로 앞으로나가는 순간이 서비스의 시작이다.
- 서비스가 시작되고(규정 9.2), 서버의 라켓이 셔틀을 치거나, 혹은 서비스를시도하다가 셔틀을 치지 못하는 경우도 서비스가 진행된 것이다.
- 서버는 리시버가 준비하기 전에 서비스를 하면 안 된다. 하지만, 그 상황에서 리시버가 서비스를 받아 넘기려 했다면 그것은 리시버가 준비한 것으로판단한다.
-복식경기에서 서비스가 시작되는 상황에서(규정 9.2, 9.3) 서버와 리시버의파트너는 해당선수 측 코트의 어디에나 위치해도 되지만 서버나 리시버의시야를 차단하면 안 된다.+(2018 배드민턴 경기규정집에서 자세하게 추가하여 정리)
12. SERVICE COURT ERROR(서비스코트 에러)*
- 서비스 혹은 리시브를 잘못된 순서로 하거나
- 서비스 혹은 리시브를 잘못된 서비스코트에서 하는 경우.
- 만약 서비스코트 에러가 발견되면, 그 에러는 정정되고 점수는 그대로 유지6. 단식 경기방식
①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② 리시버는 서버의 대각선 위치의 코트에서 리시브한다.
7. 복식 경기방식
① 서비스 및 리시브
㉮ 서버가 포인트를 얻지 못했거나 점수가 짝수인 경우는 우측에서, 점수가 홀수인 경우는 좌측에서 서비스 한다.
㉯ 서버로부터 서비스 코트의 대각선 위치에 선 선수가 리시버가 된다.
㉰ 리시버 쪽의 선수는 해당선수쪽이 서비스하여 점수를 얻기전까지 서로코트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② 스코어링(Scoring) 및 서비스 권한
㉮ 리시브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서비스측은 점수를 획득하며 서버는 다시 서비스를 한다.
㉯ 서비스측이 폴트를 범하거나 범실에 의해 중단된 경우 리시브한 편이 점수를 획득하며 리시버쪽이 서버가 된다.(한쪽편에한 번의 서비스 권한을 부여)
③ 서빙(Serving)
- 어떠한 게임에서도 서비스 권한은 아래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 오른쪽 서비스 코트에서 경기를 시작한 최초의 서버로부터
㉯ 선 리시버의 파트너에게로 넘어감. 이때 서비스는 왼쪽 서비스 크트로부터 시작
㉰ 먼저 서비스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 먼저 리시브한 편의 해당 점수에 부합되는 코트에 위치한 선수에게로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반복 됨.8. 반칙(Faults)
-서비스가 올바르지 못할 경우
-서버가 서비스하는 도중 셔틀을 치지못하고 헛스윙했을 경우
-경기 중 셔틀이 코트밖에 떨어지거나 네트 밑 혹은 네트 사이로 통과했을 경우-선수의 라켓 혹은 네트 이외의 다른 곳에 셔틀이 닿을 경우
-셔틀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네트를 넘어 셔틀을 치거나 헛쳤을 경우. 단,셔틀이 네트를 넘어왔을 경우 셔틀을 치고 상대편 코트로 넘어가는 것은 허용됨.
-라켓이나 선수의 몸이 네트에 닿았을 경우
-셔틀을 연속적으로 두 번 이상 쳤을 경우+(2018 배드민턴 경기규정집에서 자세하게 추가하여 정리)
<다음 상황에서는 ‘폴트’가 된다>*
- 서비스가 바르지 못한 경우
- 서비스를 하는 중 셔틀이 다음과 같을 때
1)네트 위에 걸려서 그대로 멈춰 있는 경우
2)네트 위로 넘어가서, 네트에 걸리는 경우
3)리시버의 파트너가 셔틀을 친 경우-랠리 중에 셔틀이 다음과 같을 때
1)코트의 라인 밖으로 셔틀이 떨어지는 경우(즉, 라인 위 혹은 안쪽에 떨어지지 않은 경우)
2)네트를 넘어가지 않은 경우
3) 천장 혹은 벽에 닿은 경우
4) 선수의 신체 또는 옷에 닿은 경우
5) 장애인배드민턴에서 휠체어 또는 목발은 선수의 신체 일부로 간주된다.
6) 코트 밖의 어떤 물건이나 사람에 닿은 경우(건물 구조로 인해서 필요한 경우에, 지역 배드민턴 협회는 셔틀이장애물에 접촉하는 경우에 대한 자체 규칙을 만들 수 있다. 단, 회원국 배드민턴협회는 거부권이 있다.)
7) 라켓에 멈추어져 있는 상태로 스트록을 하는 경우
8) 선수가 연속해서 셔틀을 두 번 친 경우, 그러나 한 번의 스트록으로 라켓의 헤드와 스트링 부분으로 치면 ‘폴트’가 아니다.
9) 한 선수가 셔틀을 치고 그 선수의 파트너가 연속해서 셔틀을 치는 경우
10) 선수의 라켓에 맞고 상대 코트로 넘어가지 않은 경우
-경기 중에 선수가 다음과 같이 할 때
1) 네트나 네트를 보조해주는 용구에, 라켓, 선수, 또는 옷이 접촉한 경우
2) 선수의 신체 또는 라켓이 네트를 넘어 상대 코트로 침범한 경우. 단, 스트록 과정에서 자기 코트에 있는 셔틀을 친 후에 라켓이 셔틀을 따라 네트를 넘어간 경우는 예외이다.
3)네트 아래로 라켓이나 사람이 넘어가서 상대선수를 방해하거나 집중할 수 없게 하는 경우
4)상대 선수를 방해, 즉 셔틀이 네트를 넘어가는 지점에서 상대의 정당한 스트록을 방해하는 경우
5)선수가 의도적으로 고함을 지르거나 불필요한 몸짓으로 상대선수를 집중할 수 없도록 방해하는 경우
9. 레트레트(Lets, 경기중단 및 무효)
-레트가 선언될 경우 바로 전에 서비스한 선수의 서브권은 그대로 유효하며 그 선수가 다시 서비스한다.
-레트는 예기치 못한 우발적인 사고 및 행동이 발생하여 경기가 중단될 때 선언된다.
즉, 리시버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비스하거나, 경기 중 다른 코트로부터 셔틀이 들어와 경기를 방해할 경우 등이 해당한다.+(2018 배드민턴 경기규정집에서 자세하게 추가하여 정리)
-'렛은' 심판 혹은 선수(심판이 없는경우)에 의해서 경기를 중단하기 위해 선언된다.*
1) 리시버가 준비되기 전에 서버가 서비스한 경우
2) 서비스 중, 리시버와 서버 둘 다 폴트를 한 경우
3) 서비스가 리턴 된 후에 셔틀이
4) 네트 위에 걸려서 그대로 멈춰 있는 경우
5) 네트 위로 넘어가서 네트에 걸리는 경우
6) 랠리 중에 셔틀의 베이스와 깃털이 완전히 분리된 경우
7) 심판의 판단하에, 경기가 방해를 받았거나, 코치에 의해 상대방 선수가 방해를 받는 경우
8) 라인저지가 못 보았고, 심판도 판정할 수 없는 경우
9) 예측할 수 없는 우발적인 상황이 일어난 경우
- ‘렛’이 선언되면, 마지막 서비스 이후 경기는 무효이고, 마지막으로 서비스한선수가 다시 서비스하게 된다.
10. 경기의 연속적 진행 규칙
① 각 게임중 한쪽편이 11점(초등부-9점)에 먼저 도달할 경우 60초이내 인터발
② 1게임과 2게임사이, 2게임과 3게임사이에 120초 이내의 인터발이 허용된다.
11. 어드바이스(지도) 및 코트에서의 이탈
① 셔틀이 경기진행 중이 아닌 경우에만 선수는 경기중 지도를 받을 수 있다.
② 경기 종료시까지 경기자는 심판의 동의 없이 코트를 떠날 수 없다.12. 배드민턴코트
※ 라인 폭 : 4cm, 코트 대각선 길이 : 14.723m
※ 네트높이 : 양 끝 부분-1.55m ,중앙-1.524
※ 포스트(지주대) 높이 : 1.55m
※ 코트와 코트사이 : 최소 2m
※ 천정높이 : 적정높이 - 12m이상, 최소 9m이상13. 경기용품 규격
① 셔틀콕
1. 최고속도 : 260kmph
2. 셔틀콕은 베이스에 16개의 깃으로 고정
3. 중량 : 4.74~5.50그램(g)
4. 셔틀콕 시험 : 백바운더리 라인 상에서 셔틀콕을 언더 핸드의 풀 stroke로 쳐서 반대편의
백바운더리 라인으로부터 530mm과 990mm(아래 그림B) 사이에 착지되어야한다.
② 라켓
1. 구성 : 손잡이, string면, 헤드, 샤프트, 스로트(목), 프레임(자루)
2. 라켓의 프레임은, 핸들 부분을 포함해 전체 길이가 680mm를, 전체 폭은 230mm를 넘어서는 안 된다.
3. string부분은 전체 길이 280mm, 넓이 220m+(2018 배드민턴 경기규정집에서 자세하게 추가하여 정리)
16. CONTINUOUS PLAY, MISCONDUCT & PENALTIES(경기의 연속, 규정 위반 & 벌칙)*
- 경기는 규정 16.2, 16.3 그리고 16.5.3(휠체어 경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최초의 서비스부터 경기가 끝날 때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 인터벌(Interval)
1) 매 게임에서 한 편의 점수가 11점에 도달했을 경우 60초 이내의 인터벌
2) 첫 번째 게임과 두 번째 게임 사이, 그리고 두 번째 게임과 세 번째게임 사이에 120초 이내의 인터벌-경기의 중단
1) 선수들의 책임 이외의 상황에서, 필요하다면 심판이 판단하여 경기를 중단할 수 있다.
2) 특별한 상황에서는 레프리가 심판에게 경기를 중단하라고 지시할수 있다.
장애인배드민턴에서(규정 5.2) 부가적인 선수장비를 수리하는 것은이와 같은 특별한 상황으로 간주된다.
3) 경기가 중단되는 경우 점수는 그대로 유지되며, 그 점수에서 다시시작한다.
-경기의 지연
1) 어떠한 상황에서도 선수의 체력을 회복하거나 호흡을 안정시키기위해서 또는 코칭을 받기 위해서 경기를 지연해서는 안 된다.
2)심판만이 경기의 지연에 대한 유일한 판단자이다.
- 코칭 그리고 코트 이탈
1) 경기 중이 아닌 셔틀인 상황에서만(규정15) 코칭을 받을 수 있다.2)선수들은 심판의 허락없이 코트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인터벌)는 예외이다.
3) 휠체어배드민턴에서 선수는 도뇨(catheterise)를 위하여 경기(match) 중한 번 더 추가하여 코트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이때 선수는 BWF가임명한 기술임원과 동행한다.
-선수들은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1)경기를 고의로 지연하거나 중단하는 행위
2) 셔틀의 스피드와 비행에 변화를 주기 위해 셔틀을 손상하는 행위]3) 불쾌하고 비신사적인 행위
4) 배드민턴 규정에 특별히 규정되지 않은 위반 행위
- 위반 행위 관리
<심판은 규정 16.4.1, 16.5.2, 혹은 16.6에 대한 위반을 다음과 같이처리한다>
1) 위반한 측에 경고(warning)를 준다.
2) 만약 이미 경고(warning)를 받았다면, 위반한 측에 폴트(fault)를 준다.
3) 명백한 반칙이나 규정 16.2를 위반하는 경우, 위반한 측에폴트를 준다.
- 규정 16.7.1.2 혹은 16.7.1.3에 의해 폴트를 받는 경우, 심판은 위반한 편을, 해당 경기의 자격을 박탈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레프리에게 즉시 보고한다.17. OFFIALS AND APPEALS(임원과 항의)
.1) 레프리는 경기(match)로 구성된 대회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사람이다.
2) 심판은 임명된 경기, 코트, 그리고 그 코트 주위를 관리하는 사람이다.심판은 레프리에게 보고를 해야 한다.3)서비스저지는 서버가 서비스폴트를 했을 경우, 그 서비스폴트를 선언해야한다(규정 9.1.2-9.1.9).
4) 라인저지는 책임지고 있는 라인에 대하여 셔틀이 ‘인’ 또는 ‘아웃’인지 판정해야 한다.
5) 임원들의 결정은 그 책임범위 내에서 모든 상황에 관한 최종결정이 된다.단, 다음의 경우는 예외이다.
㉮ 만약 심판의 판단 하에 라인저지가 명백하게 잘못된 판정을 했다면,심판이 정정할 수 있다.
㉯ IRS가 운영되면, 어떠한 ‘라인콜 챌린지’도 최종 결정한다.
-심판은
1) 배드민턴 규정을 지키고 적용하며, 특히 ‘폴트’ 혹은 ‘렛’ 발생시 이를판정해야한다.
2) 이의제기가 있을 경우, 다음 서비스를 넣기 전에 해결해야 한다.
3) 선수 그리고 관중들이 경기의 진행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레프리와 상의해서 서비스저지 혹은 라인저지를 임명 또는 대체 할수 있다.
5)다른 기술임원이 임명되지 않았다면 그 임무를 대신 수행해야 한다.
6) 임명된 임원이 상황을 보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임원의 책무를 대신수행하거나 ‘렛’을 선언한다.
7) 규정 16에 관련된 모든 사실을 기록하고 레프리에게 보고한다.
8) 규정과 관련된 모든 항의에 대해서 레프리에게 보고한다(항의는 그다음 서비스가 행해지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고, 혹 경기가 종료된후라면 항의하는 쪽이 코트를 떠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2018년 생활체육지도 배드민턴 구술면접 족보 ◂◂◂◂
sunday5pm.tistory.com/101?category=892637
2018생활체육지도자 배드민턴 구술면접 족보자료 및 시험준비
이 자료는 생활체육지도사 실기,구술준비 오픈채팅방에서 다운받은 2018년배드민턴 구술문제정리 자료와 제가 2018년 배드민턴 규정집, 체육훈련지도서배드민턴 매뉴얼을 찾아보며 배드민턴을
sunday5pm.tistory.com
'기록 > 오늘 수업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 [도전ㅣ 더 멀리던지기] 던기기 게임 (0) 2020.12.23 56. [경쟁 ㅣ 킨볼형게임] 킨볼 리드업게임/킨볼이용한 몸풀기 (0) 2020.12.02 52. 킨볼을 이용한 술래잡기/ 인디아나존스 (0) 2020.11.05 51. '뛰어' 달리기 게임 (0) 2020.11.03 50. 순발력 게임 (0) 202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