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태권도 품새 개론[국기원 태권도교본]
    기록/스포츠 자료실 2020. 12. 29. 10:54


    안녕하세요. 요즘 태권도 수업때문에 태권도교본을 보며 열공중인데요 학원도 다니며 열심히 배우고 있어요. 우선 태권도 품새에 유래에 대해 알아볼께요.
    품새란 무엇일까요?

    가. 품새의 유래

    태권도의 품새는 개체적인 단순과 공격과 방어수단으로서의 원시적 무술이 인간의 인지가 발달되고 사회가 조직화됨으로써 싸우는 양상이 집단적 공동 대처현상으로 바뀜에 따라 형성되었다. 공동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기술의 수련과 전수의 편리를 위해 무질서하고 복잡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전통사상 및 의학적인 요소가 첨가되어 점차적인 체계과정을 거처 초기의 품새 형태과 완성되었다. 기마민족이 역사무대의 주역으로 등장한 상고시대의 품새 수련층은 무인들이였으며 문헌과 유적에 나타난 최초의 품새 형태는 기원 1세기경으로 그것은 한미족의 강성한 고대국가인 고구려에서 였다.

    나. 품새정의

    품새의 품 하나하나는 생존에 따른 실전적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작을 통해 정신 수양과 신체의 건강 그리고 호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과학전인 기술의 결정체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품새가 곧 태권도이며 기본동작은 품새 동작의 바탕이 되는 동작이고, 겨루기는 품새의 실전 응용동작이다. 태권도 정신은 무낮로 표현되는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정신철학 속에 있지 않고 품새에 의한 행동속에서 찾아진다.
    품새란 태권도 정신과 기술의 정수를 모아 심신수양과 공방원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나타낸 행동양식이다.

    다. 품새의 의의

    품새란 공격과 방어의 기술을 규정된 형식에 맞추어 혼자 수련할 수 있도록 이어 놓은 동작이다. 따라서 품새는 공격과 방어의 기본 동작을 연결. 수련함으로써 겨루기 기술향상과 동장응용능력 배양 그리고 기본 동작에서는 익힐 수 없는 특수기술의 연마(숙달)를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픔새는 품새선에 따라 수련하는데, 품새선이란 품새를 할때 발의 위치 그 이동방향을 선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라. 품새 수련상의 유의점

    품새는 공격과 방어의 동작을 이어놓은것이기 때문에 동작의 변화가 많고 기술의 연결이 다양하며, 몸의 이동, 시선, 호흡등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를 단계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새의 의의와 구성원리를 터득한다.
    2) 품새선과 동작 및 방향에 대해 숙지한다.
    3) 품새수련시에는 다음사항에 유의한다.

    가)시선
    나) 몸의 중심이동
    다) 속도의 완급
    라) 힘의 강유
    마) 호흡

    마. 품새의 연성
    하나의 품새를 순하여 완전하게 성취하는 것이다. 연성에는 다섯단계가 있고 연성과정의 차례는 지켜져야한다.

    1. 모양 : 품새 수련의 첫과정은 모양을 배우는데 있다. 기하비, 시선, 구성, 각도가 중점사항이며 동작의 정확성이 목표이다.

    2. 뜻: 모양을 알고 난 다음의 과정으로 중정사항은 중심, 강약, 완급, 숨쉬기, 품새선이다. 동작의 뜻, 품과 품의 연결된 법의 뜻, 전체 품새의 뜻을 배운다.

    3. 실용 : 뜻으로 풀은 동작과 법을 신전사용이 가능하게 수련하여 직접적으로 실전에 적용한다.

    4. 자기류: 실전에 쓰여진 기술의 효과 정도를 자기의 체격과 속도, 힘, 근력, 순발력, 태권도수련중점 등으로 평가하고 기술을 변화시켜 가장 뛰어난 효과과 있는 기술을 알아내어 자기화시키는 과정이다.

    5. 완성: 자기류에서 발전하여 태권도의 참 정신을 알고 태권도 기법 자체를 완전 소화하여 종합적을 ㅗ완성하는 태권도의 최고 경지이다.


    바. 품새의 유형
    1. 기법- 기법은 품새 전체의 기술 형태를 뜻한다. 태권도의 본질이 무예이르모 실전에 응용이 가는한 기법에 의한 유형의 분류가 가장 중요하다.
    1) 다양한 기법의 품새: 치고 막는 기술 자체가 실전에 응용할수 있는 기술보다 더 많이 포함된 형태이다. 그러나 수련을 통해 실전기술을 간추려 단순화시켜야하는 품새이다.
    2) 실전기법의 품새: 실전 체험기술만으로 이루어지면 치기 위주의 품새와 막기 위주의 품새 그리고 치기와 막기의 법이 균등한 품새로 구분된다. 기술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품새 연성의 제 2단계인 뜻의 풀이는 필요없다.
    3) 단순한 기법의 품새 : 초급과정과 고급과정의 양극으로 구분된다. 고급과정에서는 숨쉬기를 통해 인체 내부의 힘을 기르는 내공의 수련방법이 포함되고 있고 기술이 간접적으로 표현되어 수많은 변화를 순련을 통해 체득해야한다.
    2. 구성 - 품새의 동작 구성은 수많은 형태가 있으나 품과 법, 손기술과 발기술, 서기와 진행방향의 비율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품새의 동작은 신체의 골느 발달을 위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앞뒤와 왼쪽과 오른쪽이 같은 동작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방향에 따른 구성비율은 동일하고 서기도 기술에 비례하므로 태권도의 특징과 구별이 뚜렷한 발기술과 손기술의 구성비율로 분류된다.
    ①손기술 위주의 품새
    ② 발기술 위주의 품새
    ③ 손기술과 발기술이 균등한 품새
    3. 중점- 태권도 수련상의 중점인 힘의 강약과 동작의 완급에 대한편중(치우침) 정도에 따라 품새의 유형이 구분된다. 힘의셈과 동작의 느림, 힘의 여림과 동작의 빠름은 비슷한 유형이다.
    ① 부드럽고 느린 품새
    ② 부드럽고 빠른 품새
    ③ 힘을 주며 느린 품새
    ④ 호흡을 기게 하며 느린 품새
    ⑤ 강유와 완금이 균등한 품새

    사. 품새의 구분
    품새는 태극 1장부터 8장까지의 유급자 품새와 고려부터 일여까지 유단자 품새가 있고, 팔괘품새가 1장부터 8장까지 있다. 품새는 기본이 되는 동작과 품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품새의 뜻에 맞는 테두리 안에 짜임새 있게 짜여져 있다. 이테두리를 품새선이라 한다. 이 품새선은 모두가 를자 혹은 부호로 표현되어 있다.


    ▲ 자료출처: 국기원 태권도교본2006년신판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