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포츠피구 정식경기 규칙
    기록/스포츠 자료실 2020. 12. 13. 16:55

    피구는 2012년 처음 배정받은 학교에서 스포츠클럽으로 피구대회를 나간 적이 있었다. 마침 인제군 대회에서 심판도 했었고, 룰을 정확히 알고 있다. 단순히 공만 피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대회에서 이기려면 피하는 기술을 알아야하고, 피구 정식 규칙도 잘 알아야한다. 우리학교는 인제군에서 예선전을 통과했으나 결승전에서 처참히 깨지며 졌다. 속초에서 경기를 했고 씁쓸히 지고 왔지만 에슐리에서 맛있게 부페를 먹고 온 즐거운 기억이 난다 ^^

    그럼, 피구 규식에 대해 알아보자. 🤗

    2012년 인제군 스포츠클럽 도대표 예선전 경기 심판 보는 나



    1. 피구 경기장의 규격

    가. 피구 경기장의 규격
    경기장의 모든 라인은 외곽 최종 라인의 수직선을 최종한계로 한다. 경기장의 두 인접지역 사이의 선은 색상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센터 라인은 두 사이드라인의 중간지점을 연결하는 선이다.
    경기장 표면은 대회 규정에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경기할 수 있다. 경기장 규격(내야)은 ① 반드시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② 길이는 초등 18m, 중, 고등 대학 ,일반20m의 경기장 이어야 한다. ③ 너비(폭)는 각각 9m, 10m 이어야 한다.
    경기장 규격(외야)은 ① 내야를 기준으로 좌, 우, 뒤 등의 폭을 3m로 한다. ② 경기장은 선을 그어 표시한다. ③ 경계선은 각 지역의 넓이에 포함된다. ④ 경계선은 터치라인이라 한다. ⑤ 모든 선의 폭은 실내 5cm, 실외 10cm를 넘지 않아야 한다. ⑥ 경기장은중앙선(하프 라인)에 의하여 둘로 나누어진다. ⑦ 센터 마크는 중앙선의 가운데 지점에
    표시한다. ⑧ 센터 서클은 센터라인 중앙에 3m 원을 그려 표시한다.



    나. 피구 경기의 장비
    피구(Dodge ball) 공의 품질과 규격은
    첫째, 피구 공인구로 한다.
    둘째, 볼은 공기압으로 된 둥근 모양이어야 한다.
    셋째, 공의 크기는 초등학생 공인구 4-1호, 중⋅고등학생공인구 4-2호로 한다.
    만일 경기 중 볼이 터지거나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이처리한다. ① 경기를 중지한다. ② 교체된 공으로 처음에 결함이 발생된 장소에서 공격권 갖고 있는 팀이 경기를 재개하되 공격권이 애매한 상황일 경우 센트 서클에서 점프볼로 경기를 재개한다. ③ 경기는 상황에 따라 주심의 지시 하에 재개한다. ④ 공은 경기하는 동안 주심의 허락 없이 바꿀 수 없다.안전을 위해 경기자는 자신이나 다른 경기자에게 위험스러운 물건이나 반지, 목걸이, 시계 등을 사용하거나 착용해서는 안 된다.


    장비에 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① 장비가 잘못되어 있는 경기자는 주심이 그의 장비를 교정하기 위해 경기장을 떠나도록 지시한다. ② 장비를 올바르게 하기 위해 경기장을떠나도록 지시를 받은 선수는 주심의 허락하에 입장한다. ③ 팀의 유니폼은 모든 선수들이 주심⋅부심과 구별이 되는 색상의 상의를 입어야 한다. ④ 안면 보호대, 무릎과 팔,손가락 보호대와 같은 보호 장비는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선수는 손에 손을 보호하기위한 손가락보호대, 테이핑 외에 송진가루나 장갑등 기타 장비를 착용하거나 붙이면 안된다. ⑤안경 착용자는 본인과 다른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보안경 또는 스포츠 안전고글이나 안면보호대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2. 피구 경기의 규정


    가. 인원
    정규 경기의 한 팀의 인원은 12명으로 한다. 단, 대회 환경에 따라 별도로 인원을 정할 수 있다.
    나. 심판 판정 선수는 경기 도중에 심판에게 절대 항의할 수 없다. 감독과 코치가이의를 제기 할 경우에는 이의제기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예선 리그전 또는 결선 토너먼트 시 이의제기 카드는 1장(2장)으로 하며, 이의제기가 인정되지 않을 때에는 카드를 반납하고, 이의제기 인정 시에는 카드를 반납하지 않는다.

    다. 점프 볼
    경기 중앙선 센터서클 안에서 심판에 의해 공중으로 던져진 볼을 터치하여 자기 팀에 패스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양쪽선수는 상대편 센터서클 안에 손을 올리지 말고 점프 준비하고 공중으 로 던져진 볼은 정점에 도달, 떨어지는 것을 보고 점프하여 우리 팀 진영을 향해 터치한다. 점프볼로 경기시작이며 심판의 신호 없이도 바로 공격, 패스가 가능하다. 점프 볼시 볼 아웃되면 터치한 선수의 상대편 볼이 되며, 볼 노터치 시는 다시 점프 볼을 한다. 점프 볼 터치 후 처음 공에 대해, 점프 볼 한 선수는 패스 및 공격을 할 수 없으며 점프볼 한 선수를 맞출 수 없다.


    라. 공격
    - 볼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손에서 공이 떠나 상대팀을 노바운드로 던져서 맞추는 것을 말한다.
    1) 상대편 선수가 던진공을 노 바운드로 잡았을 경우 공격권을 가지고 온다.
    2) 상대편 선수가 던진공 이 노 바운드로 2명 이상 맞은 경우는 맞은 선수 전원 아웃된다.
    3) 공격자는 얼굴과 머리를 공격해서는 안 되며 맞았을 경우라도 아웃되지 않고 공격권을 빼앗긴다. 단, 공격을 피하려고 앉다가 맞은 경우는 제외한다.
    4) 상대편 공격 시 파울을 범한 경우에 맞아도 아웃되지 않는다.

    마. 패스
    - 같은 팀의 내야수와 외야수가 볼을 주고받는 것을 패스라 한다. 또한 공격을 했더라도 수비수와 상관없는 공격의 볼도 패스로 인정한다.
    1) 같은 팀은 내야수와 내야수끼리, 외야수와 외야수끼리 패수 할 수 없다.
    2) 외야수는 외야라인 밖을 벗어나 패스 할 수 없다.


    3. 피구 경기의 파울 규정


    가. 파울, 아웃
    - 파울은 피구 경기 중 선수가 경기 규칙에 위반되는 행동이나 말을 하였을 때 이를파울이라 한다.
    - 아웃은 공격수가 던진 볼에 노바운드로 선수가 맞고, 볼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내야라인 밖을 나갔을 경우 이를 아웃이라 한다.
    나. 내ㆍ외야에서 경기 재개
    볼 아웃, 파울 및 그 외의 상황으로 주심에 의해 경기 중단 이후 내ㆍ외야에서 공을가지고 다시 경기를 재개하는 경우에는 움직이지 말고 공을 머리 위로 올려 주심의 호루라기 신호 후 경기를 다시 시작한다. 볼 재개 동작을 취하지 않고 선수가 볼을 던졌을경우 주심은 경기를 중지 시켜 노플레이를 선언하고, 공격권을 상대팀에게 준다.
    (단, 볼 재개 동작을 취하지 않고 던진 볼이 상대팀의 볼이 된 경우 어드밴티지를 적용하여 계속 경기를 진행한다.)

    다. 파울의 종류
    1) 오버 라인 파울

    공격권을 가진 팀의 선수가 한발 또는 두발로 라인을 밟거나 한발이 라인을 넘었을 때 오버라인 파울을 적용하며
    공격권은 상대팀에게 넘어간다. 경기 중(플레이 중) 선수가볼과 상관없이 라인을 밟거나 넘었을 때와 볼을 만지거나
    잡고 라인을 밟거나 넘었을 경우 주심은 플레이 후에도 오버라인 파울을 적용할 수 있다, 단, 경기 중(플레이 중) 수비선수가 볼과 상관없이 라인을 밟거나 넘었을 때 어드밴티지를 적용하여 인플레이 시킬 수 있다.
    ① 내야선수의 수비 또는 공격 시 두발이 라인을 넘어가면아웃처리 한다. [그림 38] 오버 라인
    ② 수비 또는 공격 팀 외야 선수의 두발이 라인을 벗어날 경우 경고를 준다. 또한, 경고를받은 선수가 공격 팀일 경우 공격권은 상대팀으로 넘어간다. 단, 2번 경고 후 3번째는퇴장처리 한다.



    2) 홀딩
    상대의 코트에 구르고 있는 볼을 가져오는 파울행위를 말한다. 단, 상대 코트 내에서 바운드되어 공중에 떠 있는 볼의 높이가 잡는 사람의 허리이상인 경우는 홀딩은 적용되지 않는다.


    3) 시간 초과 (5초 룰)
    공을 잡고 5초를 경과하는 파울을 말한다. 5초를 경과하면 공격권이 상대팀에게 넘어간다. 시간초과는 주심의 주관적 견해로서 경기 지연행위라고 판단했을 때 적용한다.

    4) 신체접촉(보디터치)
    경기 중 상대 선수에게 신체접촉을 하는 행위를 말한다. 신체접촉을 하였을 경우에는공격권이 상대팀에게 넘어간다.
    5) 더블 패스 파울
    내야 또는 외야끼리 같은 공간 안에서 고의로 공을 주고받는 행위를 말한다.
    ① 경기중(플레이중) 내야 또는 외야끼리 같은 공간 안에서 주거나 패스할 수 없다. 만약 경기중(플레이중) 주거나 패스하였을 경우에는 상대팀의 내야 볼이 된다.
    ② 외야에서 상대방의 내야를 향해 공격했을 때 상대팀이 아무도 맞지 않고 같은 팀외야가 잡은 경우에는 더블패스 파울이 된다.
    ③ 선수가 내(외)야 라인 밖으로 나가는볼을 손이나 신체로 블로킹하여 적극적으로 잡으려고 노력하였으나 그 볼을 다른 선수가 잡았을 경우 더블패스로 인정하지 않는다. (단, 선수가 같은 팀의 다른 선수에게의도적으로 전달할 목적으로 블로킹한 경우 더블패스 파울을 적용할 수 있다.)


    6) 헤드 어텍 파울
    헤드는 얼굴을 포함한 머리를 말하며, 헤드어택 파울이란 경기중 선수보호와 선수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공격자가 수비자를 향해 무릎높이 이상으로 직접 헤드를 맞추는 것을 말한다. 경기를할 때에는 상대의 머리와 얼굴을 향해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



    7) 포 패스 파울
    상대선수를 향해 공격하지 않은 볼은 모두 패스로 본다, 패스는 3번까지 허용하며, 4번째는 포 패스 파울을 적용한다.
    (단, 로빙 볼과 경기 지연 목적의 패스는 주심의 판단하에 인터페어 파울 또는 비 매너적 행위로 간주하여 테크니컬 파울을 줄 수 있다.)

    8) 일리걸 캐치 파울
    의도적으로 다리나 신체를 이용하여 볼을 막거나 튕겨서 손으로 잡는 행위를 일리걸캐치 파울이라 한다. .

    9) 테크니컬 파울
    비매너적인 행위로 경기를 지연시키거나 심판의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진행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 스포츠맨 쉽에 어긋나는 행위로 간주하여 경고 또는 퇴장 시킬 수 있다.또한, 팀 파울을 적용하여 누적경고 또는 몰수 패를 줄 수 있다.
    * 팀 파울 : 선수 개인에게 주는 파울이 아니라, 팀 전체에게 주는 파울을 말한다.
    * 누적경고 : 팀 파울을 받은 팀은 팀원 중 한명이라도 경고를 받을 경우 경고 받은선수는 아웃 또는 퇴장된다.

    10) 볼 데드 존
    아웃된 선수가 외야로 나갈 때 상대편 내, 외야 지역을 침범하는 반칙 행위를 말한다.

    11) 플라잉 탭
    점프 볼시 공이 정점에 오르기 전에 터치하는 반칙 행위를 플라잉 탭이라 한다.

    12) 더블 탭
    점프 볼 하는 선수가 점프 볼시 공을 두 번 이상 터치하는 반칙 행위를 더블 탭이한다.

    13) 점프 어택 파울
    점프볼 후 점프한 사람이 볼을 터치하거나 첫 패스를 받은 경우, 또는 첫 번째 공격에서 점프볼한 선수를 맞췄을 경우 공격자에게 주는 파울이다.
    다음의 경우 점프어택 파울을 적용하지 않고 그대로 인플레이 한다.
    1) 공격자가 던진 볼을 점프볼한 선수가 볼을 캐치한 경우
    2) 점프볼한 선수를 향해 공격하였으나 선수가 맞지 않았을 경우
    3) 점프볼한 선수를 향해 공격하였으나 점프볼한 선수가 맞지 않고 같은 팀의 다른선수가 맞은 경우 아웃으로 판정하고 인플레이 한다.

    14) 점프 캐치
    점프 볼시 점프한 선수가 직접 볼을 잡는 파울 행위를 말한다.

    15) 인터 페어
    ① 아웃된 선수가 고의적으로 볼을 다시 잡거나 만졌을 경우 인터페어 파울을 적용한다. (무의식적으로 볼을 잡았을 경우에는 두 손으로 자기 발밑에 두고 외야로 나가면 파울로 인정하지 않는다.)
    ② 플레이중인 선수가 고의적으로 시간 지연 행위를 할 때 주심은 인터페어 파울을적용할 수 있다. 또한, 2차 경고 후 아웃 또는 퇴장을 선언할 수 있다. (로빙 볼 및 시간지연에 관한 규정 강화)

    ▲ 자료출처: 사단법인 대한피구연맹 피구지도안, 국민생활체육전국피구연합회 피구지도안

Designed by Tistory.